본문 바로가기

모두 함께보는 화초정보

수선화 키우기


수면에 비추어지는 자기 모습에 도취하는 내시서스의 화신이라고
전해지는 이꽃은, 초 봄의 정원에 노란색과 흰색의 꽃이 약간 고개를
숙이고 피는데, 조용함과 함게 무엇인가의 신비로움을 자아 내지요.
이 일속에는 종류가 매우 많으며 그 본고장도 유럽과 아시아의 양쪽에
걸쳐 있는점도 흥미로운 일이지요..
원예적으로 개발된 품종도 많으며, 영국과 네델란드에서의 개량품은
세계적으로 유명하지요..
극히 내한성이 강한 구근 초화로 영하 30도까지 내려가는 극한지에서도
옥외재배가 가능하며 양,배수가 가능한 잘되는 토지를 즐기지요..
별로 그렇게 토지를 선택하지 않으며, 하루중 한나절만 햇볕을 받으면
해마다 꽃이 잘 피지만, 음지에서는 꽃피기가 힘듭니다..
꽃이 진 뒤에 잎이 무성해지는데, 6월이면 줄기가 말라 죽지요..
그러나이것은 죽는 것이 아니고 구근을 남기고 휴면에 들어가는거지요..
구근은 중형 술병을 닮은 비늘줄기구근으로 잘 나뉘어 집니다..
구근은 썩기 쉬우므로, 구입 하실때에는 단단하게 죄어진 것으로 병이
없는 것을 선택 하셔야 됩니다..
또 1구에서 싹이 여러개 나오는 것보다는 1구근에서 하나의 싹이 
나오는 것이 정확한 꽃을 피웁니다..
종류에따라 구근의 크기가 다르며, 대륜종이라도 소구성이 있으며,
소륜종인데도 대구성(大球性)인 것이 있기도 합니다..
화단용으로는 中球가 알맞지만,수경재배를 하실 경우엔 되도록
큰 구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심는 시기는 꽃만을 원하신다면 12 ~ 1월에 분갈이를 하여도 꽃은 피지만
해마다 꽃을 잘 피게하려면, 10월중에 끝내야 합니다..
수선류는 미숙한 비료를 주면 구근이 썩기 쉬우므로, 완숙 퇴비를 사용
하지만, 퇴비류를 주지 않고 화학 비료만을 주고 심는 것이 안전합니다.
간격은 해마다 캐어낼 경우에는 10 ~ 20cm, 캐지 않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15cm정도로 하고, 깊이는 15cm 정도가 가능합니다.
소형종은 10cm간격으로 깊이도 10cm정도로 하면 됩니다..
심은후에 물주기와 방한은 전혀 필요치 않습니다.
물론 분가꾸기에서는 다르지요..
분에 심을 경우에는 5 ~ 6호분에 3구 정도 심는 것이 좋습니다..
구근이 잘 썩으므로 깻묵과같은 질소비료를 주는것은 금물이며,
삼요소( 질소, 인산 , 가리)를 고르게 포함한 같은 양의 화학비료를
심을때와 싹트기 시작할때, 꽃이 진후 3회에 걸쳐, 1구에 대하여
2큰술정도 주면 됩니다..
특히, 新球가 비대하기 시작하며, 꽃이 진 직후의 추비는 잊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튼튼한 구근 화초이지만 해마다 꽃을 잘 피우려 하신다면, 양지에 심고
꽃이 진후에 추비를 잊지 않도록하는 것 외에도, 꽃이 진후에 자라는
잎은 절대로 잘라서는 안되지요..
만약에자르게된다면, 새로 생긴 구근이 살찌지 않으며 꽃도 피우지
않게 되므로 주의 하셔야 됩니다.
분가꾸기에 있어서는 건조시키면 시들어 버리기 쉬우므로, 성장기에는
겨울에도 물을 말리지 않도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근은 해매다 캐지 않고 4 ~ 5년에 1회씩 실시하여 분구하고 다시 심는
것이 좋습니다. 잎끝이 누렇게 변하기 시작할 무렵에 케어서 잘 말려서,
가을 다시 심을때가지 잘 저장하여 두시면 되지요..
새로운 구근의 바깥쪽에 붙는 자구는 별도로 1년간 살찌우면 개화구가
됩니다. 분에 심는 경우에는 해마다 새 흙으로 분갈이를 하셔야 됩니다.
줄기와 잎에 짙고 옅은 모자이크 무뉘가 나타나서 위축되는
모자이크병이 생기기 쉬운데 이때는 포기를 뽑아 버리셔야만 됩니다.
구근 부패병은 질소 비료의 지나친 사용을 피하시고, 칼리질 비료를
많이 사용하시면 예방하실수 있읍니다.
해충은 구근에 구근 진드기가 뿥어서 구근을 썩히는 수가 있으나,
평소에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시고, 성장중에는 침투이행성
입제를 사용하시면 예방하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