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육식물의 원산지는 건조한 지역이 대부분으로 건조에 강해 쉽게 말라죽는 일은 없지만, "물을 전혀 주지 않아도 좋다"라는 것은 아니며, . 다육식물 대부분이 용토가 과도하게 습하면 뿌리가 상해 물크러지거나 말라 죽는 경우가 많다.
식물별 종류에 차이는 있지만 성장이 왕성한 시기엔 용토가 말랐을 경우에 물을 주고, 휴면기에는 1개월에 한번정도 신축성 있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햇볕을 잘 쬐고 통풍을 잘 해주는 것이 필수조건 이다. |
월동온도는 열대산과 온대산이 다르지만 건조하게 두면 0℃에도 견디는 종류가 많으며, Lithops류는 보통 식물과는 달리 겨울에도 잘 자란다. 햇볕이 잘 드는 창가에 두어야 잘 자라고, 배양토는 선인장류와 같이 공극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흙을 조합한다.
화분은 보통 분이 좋고, 분 바닥에는 배수를 위하여 조개껍데기 ·분 조각을 분 깊이의 1/5 정도 깐다. 비료는 일반식물과 달라 작은 썩은 깻묵덩어리를 분 구석에 묻는 정도로 충분하며, 화학비료는 묽게 해준다.
다육식물을 관리방법상 [하형] [동형] 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형]은 높은 온도를 좋아하므로, 봄부터 가을까지 성장하고, 겨울엔 휴면한다. [동형]은 고온 다습을 매우 싫어 하기 때문에, 가을부터 이듬해 장마전까지 성장하며, 여름에 휴면한다. 동일한 [하형],[동형]종일 경우 재배법이 서로 같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휴면기엔 완전히 단수하는 편이 좋은 것이나, 완전한 건조를 싫어하므로, 물을 조금씩 주는 편이 좋은 것도 있다. 식물에 따라서는 [하형], [동형] 중간형으로 [저온하형]과 [고온동형]으로 구분지어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저온하형의 경우엔 여름철에는 서늘하게 관리하고, 고온동형의 경우 겨울철엔 따뜻하게 관리해야 한다.
메셈류중 노미옥속(露美玉_Lithops;리톱스)은 전형적인 동형으로, 여름동안 완전 휴면하는 식물로서 비에 젖지않는 서늘한 그늘에서 재배하는 것이 적당하다. 통풍을 잘 시키는 것은 온도를 내려가게 하고, 습도를 낮추는 것으로 재배에 효과가 있다. 완전 단수가 안전하지만, 물을 줄경우서늘한 저녁이나 한밤에 주 1번 정도 가볍게 주어야 한다.
전형적인 하형으로 파키포디움속은 겨울동안 완전 휴면하므로, 왕성한 성장은 여름에 이루어진다. 강건종은 비에 쬐어도 좋으나, 장마로 인해 뿌리가 썩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초겨울이 시작되기전 냉해를 입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한데, 낮은 온도로 월동시키면 봄에 왕성한 성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유의한다. 뿌리가 시들지 않게 물을 조금씩 주는 것이 좋다.
중간적인 생육형으로 하월치아속을 들 수 있는데, 이 속은 일년내내 성장을 계속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많은 일조량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창가 근처에 두고 관리하면 생육에 지장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