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플래닛/다육이기르기 정보

[스크랩] 병충해 정보

선인장의 줄기썩음병과 밑둥썩음병에 대한 조치방법

기둥선인장과 둥근선인장에서 많이 발생되는 병은 줄기썩음병(Stem rot)과 밑둥썩음병(Bottom rot)이다.

이 병은 토양성 병해로서 통기성이 나쁜 토양, 질소비료 성분이 과다한 토양, 물빠짐이 나쁜 토양에서 주로 발생한다.

발생되었을 때 조치방법은 선인장을 분에서 분리하기전 소독된 날카로운 칼로 아래 그림의 점선부위 즉, 싱싱한 부위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선인장을 반그늘에서 1주일정도 충분히 말린후 용토에 꽂는다.

밑둥썩음병(Bottom rot)

지나친 거름과 물빠짐이 좋지 않아 선인장 밑둥이 썩었다.

소독된 칼로 싱싱한 부위까지 절단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전에 사용되었던 흙이나 모래를 사용하면 안된다. 새로운 모래나 깨끗한 용토에 꽂을 때는 베어낸 자리가 충분히 모래(수분이 약간있는 것이 좋음)에 파묻히도록(전체의 20~25%정도) 꽂는다. 이때 모래에 꽂은후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선인장을 만져보아 움직이지 않는다고 생각될 때 물뿌리개로 분 밑으로 물이 흘러내릴 때까지 흠뻑주면 된다.

 

선인장 병충해 진단과 조치방법

깍지벌레가 기생할 경우

증 상

♠ 생장점 근처 또는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고 잘 자라지 않는다

세부사항

♠ 삼각주와 다육식물등의 생장점 부근이나, 선인장의 릉사이 등에
   붙어 흡즙, 가해하며 피해부위가 탈색되거나 생육이 억제된다.

원 인

♠ 표면에 하얀 깍지벌레가 기생.
♠ 건조하고 햇볕이 비치지 않는 장소나 통풍이 안되는 곳에 발생

조치방법

☞ 몇개씩 흰덩어리가 보일 때는 손으로 긁어 낸다.
☞ 발생부위를 칫솔로 문질러 제거
☞ 피해가 심한 가지는 잘라 버리고 약제(수프라사이드)를 2-3회 살포

       
깎지벌레가 선인장 표면에 달라붙어 흡즙 

 

밑둥썩음병

증 상

담황색이나 갈색으로 변하면서 밑둥이 썩는다.

세부사항

♠ 내부는 소실되고 껍질 부위만 남는다
♠ 오래되면 감염부위가 잘록해져 심부만 남는다.

원 인

♠ 거름기가 지나치게 많을경우 밑둥썩음병이 발생

조치방법

☞ 이병주는 빨리 뽑아서 소각
☞ 방제약제로 고시된 농약은 없다.
☞ 썩음방지를 위해선 배수가 잘 되도록 해야 한다

 

줄기썩음병 1

증 상

선인장 줄기가 마르면서 썩는다.

세부사항

♠ 줄기의 지면부나 선단에 주로 발생
♠ 처음에 적은 황색의 점무늬가 생겼다가 옴폭 들어간 후
   급속히 갈색으로 썩는다
♠ 부정형 병반이 확대되어 마른 상태로 썩는다.
♠ 병든 식물체는 옆으로 잘 쓰러지며, 후에 지상부는 말라 죽는다

원 인

♠ 고온다습할 때 뿌리가 썩는다
♠ 접목, 삽목시 상처부위로 침입

조치방법

☞ 환기를 하여 건조하게 관리
☞ 성한 부위를 잘라 충분히 건조시킨 후 심는다.

 

줄기썩음병 2(莖部病)

 

증 상

줄기가 변하면서 썩는다

세부사항

♠ 주로 삼각주와 비모란의 접목선인장에서 발생
♠ 말라 비틀어진다

원 인

♠ 습하고 더운 여름철에 발생
♠ 바람과 물에 의해 전파
♠ 후사리움(Fusarium) 등의 세균이 원인

조치방법

☞ 썩은 부분은 칼로 절단
    건강한 부분이 보이면 자른 자리에 다이센 등을 바르고 건조.
☞ 피해물은 빨리 제거
☞ 관수시 저면관수

 

무름병(軟腐病)

증 상

♠ 잎, 뿌리전체가 흑갈색으로 변하며 수침상으로 부패

세부사항

♠ 다습조건에서는 물러 썩으며 악취를 발하고, 끈적끈적 하게 무른다

원 인

♠ 여름철 고온기에 많이 발생
♠ 다습할 경우에는 병세의 진전이 빠르다

조치방법

☞ 병든 식물체는 즉시 제거
☞ 가능한한 물을 적게 준다.
☞ 방제약제 : 농용신수화제, 일품수화제, 아그리마이신 등의
    약제를 전면에 살포

 

채색 변색

증 상

선인장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쭈그러진다

세부사항

♠ 산취, 비모란, 삼각주 등에서 많이 발생
♠ 애응애는 크기가 매우 작아 해충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

원 인

♠ 선인장 애응애가 가해하면 표면이 갈변하고
   쭈그러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 진전되면 갈색 피해부위가 커지고 쭈그러지는 정도가 심해진다.

조치방법

☞ 확대경으로 응애가 있는지 살펴 보고 있을 경우,
    즉시 응애약제를 2회 살포

 

표면의 코르크화

증 상

♠ 흰색 또는 갈색의 부정형 반점이 나타나고 있다

세부사항

♠ 어릴 때 피해를 당한 부위는 기형이 되거나 표면이 코르크화

원 인

♠ 민달팽이에 의해 선인장이 손상

조치방법

☞ 화분아래나 바닥을 건조하게 관리
☞ 바닥에 토양살충제를 뿌려 준다.

 

 

일반 가정원예식물의 상태별 진단법

증 상

세 부 사 항

원 인

조 치

비 고

잎전체가 누렇게 변한다

잎이 밝은 황색을 띠며 쪼글쪼글해진다

수분의 부족

공중습도가 높은곳으로 옮기고 충분한 물주기

일조량의 과다시 많이 생김 (차광필요)

잎의 색이 어둡고 잎이 탈락되며 물기가 있다

수분의 과잉

물주기를 금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으로 옮긴다

일조량의 부족시 많이 생김

약간의 저온에 노출

따뜻한 곳으로 서서히 옮긴다

아랫잎부터 누렇게 변한다.

비료분의 부족

액비를 엷게 타서 준다

봄, 가을의 경우는 분갈이

잎에 부분적인 반점이 생기거나 변색된다

잎가장자리가 누렇게 변한다

빛의 과다 (일소현상)

빛이 약한곳으로 옮긴다

이상부위를 도려내도 계속 가장자리가 말라간다

풍해 (바람이 너무 많이 붐)

바람이 적은곳으로 옮긴다

잎 가장자리가 굽는다

잎의 반점과 변색이 생긴다

약해

물을 충분히 준다

빛이 약한곳으로 옮겨주어야 효과적이다

냉해 (저온에 노출)

따뜻한 곳으로 옮긴다

갑자기 옮기면 잎이 물크러진다

병충해

해당 살균제를 살포한다

탄저병, 반점병약을 지시된 양으로 희석하여 2~3회정도 살포

잎이 기형화된다

잎이 작아진다

일조량 부족

빛이 많은 창가쪽으로 옮긴다

갑자기 옮기면 일소현상 우려

잎의 색이 연해지며 무늬등이 없어진다

쭈글쭈글하며 노랗게 변한다

수분의 부족

충분한 양의 물을 준다

추울때는 미지근한 물로 준다

구멍이 생기거나 요철이 생긴다

병충해

달팽이, 진딧물등의 해충구제와 살균제살포

바이러스등의 감염 가능성이 높다

줄기의 변형등의 이상

마디 사이가 가늘고 길어진다

일조량의 부족

빛이 많은 창가쪽으로 옮긴다

도장현상

줄기가 뻗지 못한다

비료의 부족

액비를 준다

일조량이 부족할때 더하다

줄기가 물크러지며 썩는다

병해

다이젠등을 살포한다

연부병으로 테라마이신으로 응급조치가 가능하다

흰가루등이 달라 붙는다

병해

지오판 수화제등을 살포한다

흰가루병으로 통풍이 잘되는 곳으로 옮긴다

끈적끈적한 액체가 생긴다

충해

알콜을 적신 헝겊등으로 닦아내고 수프라사이드를 살포한다

개각충의 증후로 물로는 잘 안닦임

포기전체가 시든다

뿌리가 썩음

수분의 과다

물주기를 금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으로 옮긴다

잎이 탈락되는 경우가 많다

푸른상태로 생기없음

일조량의 과다

빛이 약한곳으로 옮긴다

잎이 줄기에 계속 붙어있게 된다

수분의 부족

공중습도가 높은곳으로 옮기고 충분한 물주기

시들고 심하면 삶은것 같이 된다

저온에 노출

이상부위를 제거하고 따뜻한 곳으로 천천히 옮긴다

갑자기 옮기면 물크러진다

분갈이의 과다 지연

비료분, 수분의 과부족

부족시 충분한 물과 액비, 과다시 건조시킴

분갈이 한다

위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병충해

토양선충, 입고병등의 약제살포

지표면 부근을 세밀히 관찰한다

 

출처 : 병충해 정보
글쓴이 : 대각행 원글보기
메모 :

'플래닛 > 다육이기르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야  (0) 2007.04.08
[스크랩] 다육식물이란?  (0) 2007.03.22
[스크랩] 다육이의 일반적인 재배/관리방법  (0) 2007.03.22
[스크랩] 다육이 잘키우기 노하우1  (0) 2007.03.22
그리니  (0) 2007.03.17